본문 바로가기

기업의 가치/네오팜

[네오팜] Valuation - 손익 추정하기

타카입니다. 

 

2020/12/16 - [기업의 가치/네오팜] - [네오팜] 저평가라 생각하는 이유

 

[네오팜] 저평가라 생각하는 이유

지난번 매출 분석에 이어. 2020/12/13 - [기업의 가치/네오팜] - [네오팜] 2020년 3분기 매출액 분석 [네오팜] 2020년 3분기 매출액 분석 놀라운 매출 성장세, 그리고 2020년 네오팜은 민감 피부용 로션/크

valuationfactory.tistory.com

지난번 실적 분석에 이어

네오팜의 적정 가치를 산출하기 위한 

연도별 추정 손익을 만들어보겠습니다. 

 

특별한 사업계획을 가정하지 않고, 

공시된 실적으로만 판단해 보겠습니다. 

 

즉, 신규 사업이나 기타 매출의 성장 없이 

현재 수준의 화장품 매출만 반영해보겠습니다. 

 

1. 기존 화장품 매출의 성장률 가정

몇 가지 라인업이 있으나, 

추가적인 확장 없이 

현재 제품군들이 꾸준히 팔린다면 

물가 성장률 수준의 매출액 증가를 가정하면 될까요. 

화장품 매출액의 연간 2% 성장을 가정합니다. 

 

2. 건기식 사업 중단 가정

2021년부터는 건기식 매출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을 가정합니다. 

물론 실제 사업이 중단된다면 

단기적으로는 중단 관련 비용이 발생하고 

장기적으로는 고정비 절감을 반영할 수 있겠지만, 

가정에는 매출액만 삭제해 보겠습니다. 

 

3. 매출원가율, 판관비 가정 

매출원가율이 워낙 안정적인 회사입니다. 

따라서 최근 원가율이 지속됨을 가정합니다. 

 

판관비의 경우, 

인건비와 매출연동 비용, 고정비용으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요. 

 

인건비는 연간 3% 상승을 가정했습니다. 

추가 사업이나 매출 확장 가정을 하지 않았으니, 

판관비 인력도 고정된 상태에서 

매출액을 상회하는 성장을 가정했습니다. 

 

매출액 연동 비용과 고정비용도 

성격에 맞추어 매출액 대비 비율 및 

연간 성장률(3%)을 반영했습니다. 

 

여기까지 가정을 넣으면, 

연도별 영업이익까지 추정이 가능합니다. 

 

연도별 네오팜 실적 및 추정손익(단위 : 백만 원)

 

2020년 3분기까지의 실적을 바탕으로 향후 5개년 손익 추정결과(출처 : 내마음)

추정 결과를 보니 

너무 짜게 가정한 게 아닌가 싶습니다. 

2019년 영업이익보다 

2025년 예상 영업이익이 적으니까요. 

 

물론 2020년 3분기 기준 

230억보다는 소폭 증가합니다. 

증가한다고 표현하기도 좀...

 

원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건기식 매출을 제외하니 

매출총이익률은 조금 개선되고 

매출 성장 수준이 

고정비 증가를 커버하지 못하다 보니 

영업이익률은 감소하네요. 

 

제가 생각할 수 있는 

네오팜의 아주 보수적인 추정손익입니다.

 

위에서 가정한 변수들은

회사 고유의 스토리를 입히지 않은 현재 생각할 수 있는 최소한의 가정들이라고 보면 좋겠네요. 

 

즉, 회사를 지금 비전문가가 새로 맡아도 

이 정도는 유지 가능한 거 아니겠니?

화난 거 아닙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연간 230억 내외의 EBITDA 창출액을 기준으로 

적정 기업가치는 어느 수준이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주주들의 요구수익률과 

영구 기업의 성장률, 

영업이익의 변동성이 중요한 변수가 되겠네요. 

 

더 나아가 스토리를 입히면 

어떤 회사가 될 수 있을지도 살펴봐야겠습니다. 

 

블로그의 모든 글은 
매도/매수 추천 목적이 아님.

 

by 타카